주간물가동향(12월3주)
- 날짜
- 2023.12.19
- 조회수
- 163
- 등록부서
- 동주민센터
1. 조사일시 : 2023.12. 18.~2023.12. 22.
2. 대상품목 : 생필품60여종(붙임참조)
3. 조사업소 : 대규모 점포4개소, 전통시장 3개소 등
4. 조사요원 : 유급 물가모니터요원5명
5.조사내용 : 품목별 [동향 가격은 전통시장 3개소 및 대규모점포 4개소의 평균 가격임]
ㅇ 농축산물, 개인서비스요금 동향 등 별첨
ㅇ 전망
- 유류가격의 하락세는 지속되고 있으나, 중동정세 불안 및 국제 수급 상황으로 유류가격의 불확실성이 높고 물가불안요인도 상존하고
있는 점을 들어 정부는 유류세 인하조치를 내년 2월까지 연장하기로 함
- 식품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과일가격(딸기, 사과, 배 등)은 더 큰 폭으로 상승, 이러한 과일값 가격 상승의 가장 큰
이유는 이상 기후로 딸기는 폭염과 폭우로 재배시기가 늦어지며 11월 수확량이 크게 줄었고, 사과와 배도 봄철 저온 피해를 입어
생산량이 감소했으나, 과일 수요는 줄지 않아 과일의 가격 상승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
2. 대상품목 : 생필품60여종(붙임참조)
3. 조사업소 : 대규모 점포4개소, 전통시장 3개소 등
4. 조사요원 : 유급 물가모니터요원5명
5.조사내용 : 품목별 [동향 가격은 전통시장 3개소 및 대규모점포 4개소의 평균 가격임]
ㅇ 농축산물, 개인서비스요금 동향 등 별첨
ㅇ 전망
- 유류가격의 하락세는 지속되고 있으나, 중동정세 불안 및 국제 수급 상황으로 유류가격의 불확실성이 높고 물가불안요인도 상존하고
있는 점을 들어 정부는 유류세 인하조치를 내년 2월까지 연장하기로 함
- 식품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과일가격(딸기, 사과, 배 등)은 더 큰 폭으로 상승, 이러한 과일값 가격 상승의 가장 큰
이유는 이상 기후로 딸기는 폭염과 폭우로 재배시기가 늦어지며 11월 수확량이 크게 줄었고, 사과와 배도 봄철 저온 피해를 입어
생산량이 감소했으나, 과일 수요는 줄지 않아 과일의 가격 상승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